공식적으로 active profile은 ultimate의 기능이다.
그런데 community 버전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.
community버전으로 옮기고 지원을 안해서 못쓰나싶었는데 방법이 존재하고 생각보다 아주 간단하다!
우선 아무 설정도 하지 않았을 때는 서버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No active profile set,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: "default"

기본값을 사용하고 있다.
active profile 기능 사용하기
현재 application.yml에서 profile은 나의 경우 dev
버전과 local
버전이 있다.
spring:
config:
activate:
on-profile: local
...
---
spring:
config:
activate:
on-profile: dev
...
우측 상단에서 실행 버튼 아래 Edit Configuration을 클릭한다.

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Modify options - Add Vm options 클릭한다.

그럼 아래와 같이 VM options칸이 생긴다 이제 거의 다 왔다.

아래 칸에 나는 profile중에 local
파일로 설정을 하고 싶다. -Dspring.profiles.active=local
와 같이 설정해준다.
-Dspring.profiles.active=<profile이름>
아래와 같이 적어주고 Apply - OK를 누른다.

그리고 다시 실행을 해보자. 아까와 달리 The following 1 profile is active: "local" 와 같이 우리가 설정한 profile이름을 따르고 있다고 알려준다.

profile이 잘 설정되었다. ultimate에 비한다면 ultimate이 더 간단하지만, community버전에서도 크게 어렵지 않게 쉽게 설정할 수 있다.
'IDE & ETC > Intelli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ntellij] 인텔리제이 ultimate 만료 후 community 버전 사용하기 (0) | 2024.03.07 |
---|---|
[Intellij] 인텔리제이 캐시 삭제 및 재시작하기 (0) | 2024.02.04 |
[Intellij] 인텔리제이 단축키 (0) | 2023.06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