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웹 개발45

[Redis] Redis 기본 명령어 Redis는 기본적으로 키-값, key-value 형태의 저장을 바탕으로 한다. 사용하기 직관적이라 쉽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다. ◾기본 Key-Value 명령어🔻Key에 값 저장하기SET key value 🔻 키에 저장된 값 조회하기GET key 🔻 키 삭제하기DEL key 물론 key와 함께 저장된 value도 삭제된다 🔻 키 존재여부 확인하기EXISTS key 🔻 키의 유효 시간 설정하기 (초 단위) EXPIRE key seconds 🔻 남은 유효 시간 조회하기 (초 단위) TTL key (윗단락 참조) 위에서 키의 유효시간을 설정하고 남은 시간까지 확인해보았다.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🔻 정규식 패턴에.. 2025. 5. 11.
[Redis] Redis 설치 후 접속하기 (Windows) Windows에 Redis 설치하기https://github.com/microsoftarchive/redis/releases Redis는 리눅스 기반으로 개발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. Windows에서는 공식 Redis는 직접적으로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, Github에서 Windows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포팅된 버전을 받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. 💡포팅(porting)이란?포팅은 이식의 의미로, 어떤 소프트웨어를 원래 만들었던 운영체제(OS)나 환경이 아닌 다른 환경에서도 작동하도록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. redis-cli 접속하기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 경로로 이동해 `redis-cli`를 실행시켜 사용하면 된다.나의 경우는 바로가기를 만들어 내가 접근하기 편한 위치에 두었다... 2025. 5. 10.
[DB] 배열 데이터 DB에 저장하기 ◾DB에 배열 데이터 저장하기, 가능할까?DB에 데이터를 저장하다보면 배열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는 경우가 있다. 특정 데이터인 배열(리스트)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?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리스트 [] 형태로 저장이 될까? 결론은,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배열 타입을 직접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, 배열 데이터를 저장할 떄는 string으로 변환해서 저장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된다고 한다. 즉 문자열로 파싱해서 저장해야한다. 이 부분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마다 차이는 있다. `mysql`은 배열 타입이 없기 때문에 이 포스팅에서 진행하는대로 문자열로 변환해서 저장해야한다. `postgresql`의 경우는 진짜 배열 타입을 지원한다고 한다. 본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문자열로 .. 2025. 5. 1.
[error/spring] BeanCreation, BeanDefinition 에러 spring 공부를 진행하다가 빈 관련된 에러 두 가지를 마주치고 해결했던 것을 정리해보고자 한다. 1. BeanDefinition 에러✔️BackgroundA디렉터리에서 작업하던 것을 그대로 B디렉터리에 복붙해오면서 작업하며 발생하게 된 에러이다. 컨트롤러, 서비스, 레포지토리 등을 복붙해와서 리팩토링을 하였기 때문이다. 스프링 빈은 유일해야 하는데 이름이 같기 때문에 빈 정의 오류가 발생한다.   ✔️해결과정● A컨트롤러, A컨트롤러 → A컨트롤러, B컨트롤러 컨트롤러를 예로 든다면 A컨트롤러와 같이 동일한 이름의 컨트롤러가 2개 이상 존재하면 안된다.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 기본으로 싱글톤(Singleton)으로 등록한다.  싱글톤 방식은 유일하게 하나만 등록해서 공유한다.. 2024. 3. 24.
[linux] vi/vim 에디터 사용법 #2 지난 시간에 이어 vi 에디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 2024.03.16 - [웹 개발/linux] - [linux] vi/vim 에디터 사용법 [linux] vi/vim 에디터 사용법 vi 편집기는 리눅스나 유닉스 유저라면 한 번쯤은 경험해보았을 편집기이다. 무언가 설정을 바꾸기 위해 시스템에 있는 기존 파일을 들어가 편집하고, 저장해서 나오는 경우도 꽤 빈번하다. vi편 dani0312.tistory.com 명령모드 명령어 북마크 m{a-zA-Z} : 해당 커서를 북마크로 설정 :marks : 북마크 리스트 확인 \{a-zA-Z} : 기록된 북마크로 이동 치환 %s/old/new : 각 행의 처음 나오는 old를 new로 치환 %s/old/new/g : 모든 old를 new로 치환 %/old.. 2024. 3. 17.
[linux] vi/vim 에디터 사용법 vi 편집기는 리눅스나 유닉스 유저라면 한 번쯤은 경험해보았을 편집기이다. 무언가 설정을 바꾸기 위해 시스템에 있는 기존 파일을 들어가 편집하고, 저장해서 나오는 경우도 꽤 빈번하다. vi편집기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메모장과는 다른 방식이기 때문에 그 사용법을 알아두면 좋다. vi 편집기에는 3가지 모드가 존재한다. * vi 편집기 3 모드 1. EX 명령모드 2. 명령모드(command mode) 3. 편집 모드(edit mode) 다음과 같은 형태로 모드를 넘나들어 사용할 수 있다. 1. 명령모드 → 편집모드 전환 입력모드 전환 a : 커서 뒤(오른쪽)부터 입력 A : 줄의 마지막에 입력 i : 현재 문자 앞에 입력 l : 줄의 시작 부분에 입력 o : 현재 줄 다음 줄에 입력 p : 커서가 있는 .. 2024. 3. 16.

/* 내가 추가한 코드 */ /* 내가 추가한 코드 끝끝 */